본문 바로가기

편의점 지식/편의점회계

편의점의 숫자(객수와 객단가)[Day14]

안녕하세요 MR.츄남스토리입니다.

 

오늘은 객수와 객단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어떤 영업인이든 객수를 높이기 위해 혹은 객단가를 높이기 위해 어떤 액션을 취할것입니다.

 

매출액을 분해해볼것이고, 객단가는 어떤식으로 구하는지등 알아보겠습니다.

 

유익한 포스팅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본적으로 매출액은 어떤식으로 구할까요??

 

매출액 = 객수 * 객단가

우리 점포에 몇명이 방문했는지를 알고 한 사람당 얼만큼 구매하는지를 알면 매출액을 구할 수 있습니다. 저 공식을 이해하는것은 어렵지 않을거라고 생각합니다.

 

예를들면 영업인들은 항상 매출액을 5% 높이라는 미션을 받았다고 가정해봅시다. 

객수를 5% 높이거나, 객단가 5%를 높이면 매출액이 높아질것입니다. 

 

이 둘을 어떻게 높일 수 있을까요?? 

 

객수

객수를 3가지로 분류해볼 수 있습니다.

통행객수 : 점두(가게의 앞쪽)를 통행하는 고객의 수
내점객수 : 통행객수 중 점포에 들어온 고객의 수
구매객수 : 내점객수 중 상품을 구매한 고객의 수 

3가지 종류의 객수가 있는데 가장 중요한건 구매객수일 것 입니다. 통행객수가 많던 내점객수가 많던 구매를 하지 않는다면 큰 의미가 없습니다. 물론 통행객수가 많다면 Y배너를 설치하고 옥외광고를 설치해 사람들의 이목을 끌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내점을 하게 될것입니다. 점포에 방문한다고해서 모두가 구매하지는 않습니다.  서비스 불친절, 위생, 결품등 다양한 이유가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POP를 만들어 충동구매 역시 일으켜 내점객수를 구매객수로 일으킬 수 있습니다. 우리는 항상 관찰을 통해 소비자의 니즈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객단가

객단가는 한사람당 얼마를 사는지 구매력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1인당 평균 객단가 = 매출액 / 구매객수

참고로 제가 운영했던 편의점은 객단가가 6800원에서 7000원이라는 높은 객단가를 형성했습니다. 우리는 객단가를 높이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할까요? 간단합니다. 품목의 평균 단가를 높이거나 1인당 평균 매출갯수를 높이면 됩니다. 여기서 공식을 토대로 구매객수를 낮춰 객단가를 높이다 이렇게 하면 안됩니다~~ 

 

그림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문제를 통해 이해하고 넘어가보겠습니다.

 

[응용문제01]

매출액이 80만원입니다. 객수는 125명, 매출총갯는 400개입니다. 다음의 물음에 답하시오!

 

1. 1인당 평균 구매갯수는?

2. 1품목당 평균단가는?

3. 객단가는?

4. 1품목당 평균단가를 3000원으로 바꾼다면 객단가 및 매출액을 얼마가 될까요?

 

[해설]

1. 400 / 125 = 3.2개

2. 800,000 / 400  = 2000원

3. 800,000 / 125 = 6400원

4. 1품목당 평균단가 = 매출액 / 매출총개수

   3000 = 매출액 / 400

   매출액 = 1,200,000원

   객단가 = 1,200,000 / 125 = 9600

 

4번 항목의 경우 검산을 해보자! 검산공식은 매출액 = 구매객수 * 1인당 구매갯수 * 1품목당 평균단가이다.

 

1,200,000 = 125 * 3.2 * 3000

 

우리는 알맞게 구했음을 알 수 있다. 꼭 이해하고 넘어가길 바란다. 

배웠으면 우리는 현장에 적용해봐야한다. 용어를 이해했고 알았으면 실제로 점포에서 관찰을해보고 소비자의 니즈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구매객수를 늘려 매출액을 높인다면 성과를 창출하는 사람이 될것이라고 생각한다. 

 

다음 포스팅에선 인시생산성이라는 주제를 다루어보겠습니다.

재미있게 읽으셨다면 좋아요 구독 부탁드릴게요!!